이사 당일!!필수 체크리스트
드디어 이사당일!!
포장이사는 업체에서 하는거지만
내가 해야 할일은 꼭 있다는거,,,
그런데 뭘 해야 될지 모르겠다는 분들을 위해 정리해봤습니다.
아파트 전월세의 경우, 장기수선충당금을 꼭 챙기세요!
이사 갈 때 그 동안 낸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답니다.
관리사무소에서 그 동안의 납부내역을 발급받아 집 주인에게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.
장기수선충당금이란?
보통 3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또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아파트 등에서
공동으로 사용하는 주요시설에 들어가는 유지보수 비용인데요.
원래는 소유주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나
편의를 위해 세입자의 관리비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도시가스, 수도요금, 전기요금 등 공과금은 각 담당센터에 전화해서
계량기에 적힌 이사 당일 오전까지의 숫자를 고지하면 됩니다.
그 후 안내 받은 금액을 직접 납부하거나 새로 들어오는 세입자에게 인계하면 끝!
도시가스의 경우 이사당일 담당자가 방문해 마감처리를 해야 하니 미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
신문이나 우유이용하는경우도 해당 영업소쪽으로 꼭 연락해서 변경하세요~
※ 부동산이 껴있는 경우, 부동산에서 정산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확인해보세요!
전 세입자가 요금을 정산했는지 확인 후,
온라인이나 전화로 도시가스와 한국전력 등 각 서비스 센터에 연락해 공급을 요청하면 됩니다.
이사 당일 선예약이 밀려 원하는 시간에 설치가 어려울 수 있으니 미리 신청하세요.
잔금을 다 치르고 나면 계약서와 신분증을 가지고 동사무소에 가서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.
주민등록 등본을 떼어 제대로 전입신고가 이뤄졌는지 확인하는 것은 필수!
이사가 끝나면 분실이나 파손이 없는지 꼭 체크한 후에 이사요금을 정산해야 합니다

편리함을 위해 자동이체 신청해놨던 공과금과 관리비… 해지해놓지 않으면
이사 가고 한달 후에 쓰지도 않은 돈으로 번거로워 질 수 있어요.
‘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’ 에서 모든 자동이체 내역을 확인하고 편리하게 한 번에 해지하세요!
저는 특정 이사업체를 추천하지 않습니다.
정보는 제가 ~판단은 잇님들이 해주시길,,
본 포스팅은 소정의 원고료를 받고 작성하였습니다.